안녕하세요.
김선미 원장입니다.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들어가면서 골다공증과 골다공증 골절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치료율이 예전보다 상승되었고, 골절 이후 1년 이내 약물 처방도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그 비율이 40%밖에 되고 있지 않습니다. 국내 골다공증 환자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골다공증의 모든것 시리즈 1번 골다공증 현황입니다.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유병율 (50세이상)
5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현황 유병율은 22.4%, 골감소증 유병율은 47.9%로 성인 5명중 1명이 골다공증환자, 2명중 1명이 골감소증환자입니다.
70세 이상의 경우, 여성은 2/3이 남성은 1/5가 골다공증입니다.
골다공증 골절 (50세 이상)
골다공증 현황 골절의 발생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발생 부위를 보면, 50-60대에서는 손목/발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척추나 고관절 골절발생이 증가합니다.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약 17%이며, 척추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약 6%입니다. 골절후 치명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습니다.
이처럼 골다공증 골절 후 치명률이 높기 때문에, 골절 발생 후의 관리는 더욱 중요합니다.
골절 발생 후 관리
골다공증 현황 골절 발생 후 기간에 따라 35.5%는 1년 내 약물 치료를 받지만,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보다 현저히 낮은 치료율을 보입니다.
1년 내 치료 약 종류는 비스포스포네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검단
그래도, 골절 이후 약물 처방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치료제 처방 현황
골다공증 현황 치료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비스포스포네이트(BP)
- 선택적에스트로겐수용체조절지(SERM)
- 데노수맙(DENO)
- 테리파라타이드(PTH)
- 로모수주맙(ROMO)
비스포스포네이트 처방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9년부터 감소하며, 데노수맙은 2016년부터 처방이 시작되어 최근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테리파라타이드와 로모소주맙은 국내 도입된 이후로 조금씩 증가하고있습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전 연력에 걸쳐서 증가하는 양상이고, 남성은 50대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입니다. (좌)여성 (우)남성
약물 종류는
- 주사제
- 경구제
가 있는데, 골다공증약을 복용 후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다 보니 2020년 이후에는 주사제 사용이 경구제보다 많아지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지속치료율은 시간이 가면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대한골대사학회 FACT SHEET 골다공증 현황
2023요약
- 50세 이상 골다공증 유병율은 여자 37.3%, 남자 7.5%이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 환자의 비율은 더욱 증가한다.
-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나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율은 증가하다가 2010년 이후 정체상태이다.
- 골다공증 골절의 경우, 50-60대는 손목 및 발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척추 및 고관절 발생이 증가한다.
- 고관절 골절 1년 내 치명률은 17%, 척추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6%이며, 남성의 골절 후 치명률이 여성보다 높다.
- 상완, 손목, 척추, 발목, 및 골반 골절 후 1년 내 재골절의 발생은 증가하나, 고관절 골절 후 년 내 재골절의 발생은 증가하다가 2012년 이후 정체 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 골다공증 골절 발생 후 1년 이내 약 처방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 여성의 46.9%, 남성의 경우 18.7%이다.
- 골다공증 골절 발생 후 1년 이내 약 처방률은 척추 골절 후 가장 높고, 발목 골절 후가 가장 낮다.
- 2020년 이후 골다공증 치료제 처방은 비스포스포네이트가 가장많고, 그다음으로 데노수맙, 선택적에스트로겐수용체조절제, 테리파라타이드, 로모소주맙 순서이다.
- 골다공증 치료제 처방은 주사제 사용이 빠른 증가를 보이며, 2020년 이후에는 주사제 사용건수가 경구약 사용 건수를 초과하였다.
- 골다공증 1년 지속 치료율은 전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 여성의 경우 73.9%, 남성의 경우 66.7%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