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도영 원장입니다.
초음파에서 담관암이 진단된 70대 남성 환자의 사례와 함께 담도암의 증상과 진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담도암의 증상과 진단

“소화가 안되고, 가스가 많이 차요. 소변이 진해요”

70대 남성, 소화불량, 식후 트름이 많아지고, 가스 차는 기분이 들어 진료위해 내원했습니다.
타원에서 위산억제제와 소화제 등을 2주 가량 복용해도 호전이 없었다고 합니다.

신체 진찰상 얼굴은 물론이고, 복부까지 황달이 있어 보입니다.
황달은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이 쌓여서 공막이나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현상인데, 수치가 높을수록 황달이 있는 신체범위가 넓어집니다.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symptoms/15367-adult-jaundice
좌: 황달사진, 우: 정상사진
출처: Cleveland Clinic
  • 황달이 얼굴에만 발생시 5mg/dL
  • 황달이 복부까지 발생시 12mg/dL
  • 황달이 발바닥까지 전신 황달시 20mg/dL

정도로 추정합니다.

복부까지 황달이 있던 70대 남성의 혈액검사를 보면, 빌리루빈은 약 12mg/dL로 상승되어 있으며, 간수치 역시 약 10-15배 가량 상승한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담즙 배출이 안될시에 올라가는 GGT, ALP수치도 함께 상승한 소견입니다.

image 3 12

복부 초음파에서 보인 간과 담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복부 초음파를 통한 담관의 정상범위는 7-8mm 미만이며(아래 사진), 고령에서는 약 10-12mm까지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검사한 70대 남자환자의 복부초음파는 간내 담관뿐 아니라 간외 담관까지 최대 15.8mm까지 늘어난 소견이 초음파에서 확인되었습니다.

담도암담즙이 배출되는 경로인 담관, 담낭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통칭합니다.

다른 대부분의 고형성 종양과 마찬가지로 담도암도 역시 근치적 절제술, 즉 수술만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다만, 발견이 어려운 이유는 초기에는 임상 증상이 없고, 담도를 따라 자라는 특성으로 해부학적 위치를 알기 어려우며, 세포병리학적 진단 민감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진단시 수술이 가능한 상태로 발견되는 환자는 약 20-30%에 불과하고, 수술후에도 재발률이 60~70%로 높고, 잦은 국소 재발과 원격전이가 있으므로 면밀한 추적이 필요합니다.

간과 담도의 구조
NIH, 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s://www.cancer.gov/types/liver/bile-duct-cancer

위치에 따라

  • 간내담도암
  • 간문부 담도암
  • 간외 담도암

으로 분류합니다.

담도암의 증상과 진단 
Cholangiocarcinoma 2020: the next horizon in mechanisms and management.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17, 557–588 (2020).
담도암의 증상과 진단
Cholangiocarcinoma 2020: the next horizon in mechanisms and management.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17, 557–588 (2020).

증상

종양의 발생 위치 침범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초기단계는 대부분 증상이 없습니다.
종양으로 담도가 막히면 통증이 없는 황달진한 갈색의 소변이 흔합니다.
그밖에 피부가려움, 복통, 체중감소, 발열, 회색변, 소화장애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복통은 담석으로 인한 산통과는 달리 애매모호하고, 만약 심한 통증이 있을 경우, 병이 진행한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혈액검사

황달 또는 우상복부 통증이 있는 환자는 AST, ALT, 빌리루빈 분석을 통해 담즙정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간외담관의 경우 전형적으로 총 빌리루빈 10mg/dL 초과, 직접 빌리루빈 및 ALP는 2-10배 상승시 담도 폐쇄를 추정합니다.

CA19-9, CEA는 담관암 환자에게서 증가되기도 하지만 진단적이지는 않습니다.

영상진단

담도암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영상검사는 진단 및 치료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복부 초음파, 복부 CT,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 초음파내시경(EUS),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 PET 등의 영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복부 CT

image 3 15
대한영상의학회지 2021;82(2):298-314
image 3 17
대한내과학회지: 제 79 권 제 6 호 2010
image 3 18
대한내과학회지: 제 79 권 제 6 호 2010

복부 MRI

image 3 16
대한영상의학회지 2021;82(2):298-314
image 3 19
대한내과학회지: 제 79 권 제 6 호 2010

담도암은 진단이 쉽지 않고, 어렵습니다.

무통성 황달이나 조기검진 등으로 발견된 경우 가급적 조기에 정확한 병기를 진단하여 수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https://blog.naver.com/aiin-medical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