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도영원장입니다.
만성변비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만성변비을 유발하는 원인파악을 위해서는 대장내시경이 선행되어 진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 변비 유병율은 16% 정도되는데, 변비에 대한 약물치료 보다는 건강보조식품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에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단계별로 치료를 시도해 보는것이 안전한데,만성변비 약물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만성변비의 약물 치료 Korean J Gastroenterol, Vol. 83 No. 5, May 2024
생활습관 변화 (운동, 식이섬유, 수분섭취, 대장내시경)
흔히 변비에 식이섬유가 좋다고 합니다. 변비에는 하루 20~35g의 섬유소 섭취를 권장합니다.
다만, 심한 서행성 변비나 딱딱한 변을 보는 경우, 불용성 식이섬유는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오히려 대장으로 오는 수분가지 빼앗아 딱딱한 변을 악화시 킬 수 있어 변의 수분을 늘려주는 삼투성 완화제가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 수용성 식이섬유 : 과일, 곤약, 다시마, 미역 등 해조류
- 불용성 식이섬유 : 배추, 양배추, 통곡물, 껍질째 먹는 과일의 껍질, 건포도 등 말린 과일류
아보카도: 아보카도 한 컵에는 약 10g 브로콜리: 한 컵당 약 5g 고구마: 100g당 약 2.5g 귀리: 100g당 약 10.6g 치아씨드: 100g당 약 34.4g |
1단계 만성변비 약제
부피형성 완화제 (Bulking agent)
- 섬유질 기반의 약물로 차전자피(가용성 식이섬유), 폴리카보필(불용성 식이섬유)이 있습니다. 섬유질을 이용해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대변 부피를 증가시켜서 대장통과시간이나 배변 횟수를 증가시킵니다.
- 적응증: 서행성 변비보다는 단단한 형태의 대변을 보는 분들
- 부작용: 복통, 복부팽만, 오심, 대장에서 가스 생성
- 종류
- 아기오: 1~2팩 저녁식후, 씹지 말고 물과복용
- 실콘정 : 1250mg 하루 1-4알
삼투성 완화제 (Omsmotic lasatives)
1. 마그네슘염
- 원리: 장에서 흡수되지 않는 마그네슘이 삼투압 차이를 만들어 수분과 전해질의 분비를 유발해 변비에 도움이 됩니다.
- 주의점 : 신기능 저하자, 장폐색 환자, 임산부에게서 고마그네슘혈증 유발 가능 (오심, 두통, 혼수, 홍조, 부정맥 유발) 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마그밀: 2-4정씩 하루 1-2회 가량 복용
2. 비흡수 다당류 완화제
- 원리: 소장에서 흡수안되는 이당류로 장에서 장내세균에 의해 대사되어 장관내 삼투압과 산도 증가시켜 연동 운동 촉진합니다. 임산부나 만성콩팥병 저하자 등에게서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 주의점: 장내세균에 의해 가스가 만들어지면서 복부 팽만, 복통, 설사, 오심 같은 불편한감이 있습니다.
- 듀파락 이지 시럽 (Lactulose), 듀락칸 이지시럽 : 하루 1-2포를 아침식사전 복용, 하루 3포까지 복용가능
- 포탈락산 (Lactitol monohydrate) : 판매 중지
3. Polyethylene glycol (PEG) – 일반의약품
- 원리: 합성 고분자 물질로 장관에서 흡수나 대사가 안되어서 삼투압차이로 장관내 수분이 쌓여 대변을 잘보게 합니다.
- 장점: 듀파락과 다르게 가스형성이 거의 없어서 복부가 편안합니다. 전신 흡수도 거의 없으며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편입니다. 전해질 이상, 탈수 등의 위험도 적어 신기능 장애, 심부전 환자에서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마이락스산 : 약 250cc의 물, 주스 등에 녹여서 아침에 복용
- 이지락스액: 1-2포를 오전에 복용
- 이 약들은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바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자극성 완화제 (일반의약품)
- 원리: 장의 전파성 수축 유발, 장관내 수분과 전해질 분비 증가시켜 배변활동에 도움을 줍니다. 자기전 공복 투여를 권장합니다.
- 주의점: 장기간 사용시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으로 다른 변비약에 효과가 없을 때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설사, 결장 신경총 손상, 대장흑색증, 전해질 이상 (저칼륨혈증, 단백질 영양부족) 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합니다. 간기능, 신기능에 따라 용량을 감량할 필요는 없습니다.
- 금기: 장마비, 장폐색, 심한 탈수, 장관의 급성 염증 상태에서는 금기. 태아기형유발하여 임산부 금기
- Anthraquinones : Senna (onset : 1~3hr), Cascara, Aloe, 아락실-senna+실리움
- Diphenylmethanes : Bisacodyl (onset : 6~12hr), 둘코락스-비사코딜+도큐세이트나트륨, 메이퀸-비사코딜+도큐세이트나트륨+UDCA+카산트라놀
2단계 만성변비 약제
5-HT4 작용제,Prucalopride
- 원리: 선택적 4형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로 전 장관의 운동성을 증가시킵니다. 기존 완화제 투약에도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한 환자들에게 대장 연동 운동과 변비 관련 증상을 호전시킵니다.비교적 빠르게 작용합니다.
- 주의점: 대부분 소변으로 제거되어 신기능 저하 환자에게서는 투약에 주의를 요합니다.
- 금기 : 임신, 모유수유, 투석환자, 장 천공, 정 협착, 심한 장의 염증 등에서는 금기입니다.
- 레졸로 (비급여): 65세 이하에서 하루 2mg qd 가 기본용량. 용량을 증량한다고 해서 효과가 더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65세 이상, 중증 간기능 장애 (CTP class C), 중증 신기능 장애 (GFR < 30) 일때는 용량을 하루 1mg qd 로 감량
품절 이슈 : 레졸로의 특허만료로 저렴한 복제약이 급여화되어 판매되었으나, 수익의 문제로 많은 제조사에서 더이상 약품을 만들지 않아, 곧 품절이슈가 있을 예정입니다.
특수사항에서 유의해야할 변비약
고령, 말기신부전, 임신, 수유등의 상황에서는 약물의 특성상 주의해야할 약들이 있어 복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약제의 기전과 투약에 따른 부작용, 효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추천약제 | 주의해서 사용 | 금지 |
고령 | 부피형성완화제비흡수다당류완화제PEG | 마그네슘염 프루칼로프라이드 자극성 하제 | |
말기신부전 | 마그네슘염 자극성 하제 | 프루칼로프라이드 | |
임신 | 마그네슘염 | 자극성하제프로칼로프라이드 | |
모유수유 | 마그네슘염 |